preloader

Clinical Pharmacology Trials

Key Performance

대표실적

세브란스병원 임상약리학과는 아래와 같은 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First in human
최초 인체 적용 연구
  Food effect
식이영향에 대한 연구
19%
23%
9%
49%
  Drug-Drug interaction
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Bioequivalence
생물학적 동등성 연구
Integrated Early Clinical Drug Development

임상약리시험

임상약리시험에서는 초기 안전성 및 내약성, 약동학, 약력학에 대한 항목들이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평가됩니다.

주로 건강한 시험대상자나 특정 환자군에서 실시되며,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됩니다. 세브란스병원 임상약리학과에서는 임상약리시험 별 목적에 따른 용량군 설정, 채혈 포인트 설정, 대상자 수 산출 등 임상시험 설계안을 제시합니다.

초기 안전성 및 내약성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투여함에 따라 임상시험용 의약품의 예측 가능한 용량 범위에 관한 내약성과 이상반응의 양상을 평가하여 사람에게 약물을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는 양을 설정합니다.
약동학 (Pharmacokinetics, PK)
약동학은 약물의 체내 동태, 즉 흡수, 분포, 대사, 배설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 투여를 위해 약물 농도와 약효 사이의 관련성을 확립시키기 위해 약동학적 원리를 적용시킵니다.
약력학 (Pharmacodynamics, PD)
약물 농도와 수용체와 결합하여 발현되는 약효의 관계를 나타내는 학문입니다. 임상시험에서는 시간에 따른 치료효과와 독성 사이의 관계 즉, 약력학적 관계를 통하여 약물이 일으키는 생체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임상약리시험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됩니다.

First in human [FIH] study

최초 인체 적용 연구

view more

의약품 후보 물질의 전임상 동물실험에 의해 얻은 독성, 흡수, 대사, 배설 및 약리작용 데이터를 토대로 비교적 소수 인원의 대상자에게 신약을 투여하고, 그 약물의 약동학, 인체에서의 약리작용, 부작용 및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는 투여량(내약량) 등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 (https://nedrug.mfds.go.kr/cntnts/15)

Food effect study

식이 영향에 대한 연구

view more

일반적으로 임상시험 단계에서 시험약에 대해 공복 상태와 비교하여 식후 복용 시 약물의 흡수 속도 및 정도에 미치는 음식물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는 연구

Drug-Drug Interaction study

약물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view more

여러 약물을 병용 투여할 때 일부 약물은 다른 약물의 특성에 영향을 주어 의도치 않은 부작용 및 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약물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는 연구

Bioavailability/bioequivalence study

비교약동학/생물학적동등성 연구

view more

약동학적 매개변수를 지표로 하는 생체이용률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시험약과 대조약의 약물 간의 활성 성분 흡수율 및 제제의 정도를 통계적 차이에 따라 비교하는 연구

Special population PK study

특수 인구집단에 대한 약동학 연구

view more

특수 인구집단(간장애, 신장애, 소아, 노인 등)의 경우, 해당 질환 및 상태의 특징으로 인해 약물의 ADME에 영향을 주어 유효성 및 안전성을 변화를 줄 수 있으므로, 약동학에 미치는 영향 예측 및 상관 관계 확인을 위한 연구

Thorough QT/QTc study

QT/QTc 평가 연구

view more

Q 파의 시작에서 T 파의 끝까지의 시간으로 계산되는 심장의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심전도의 평가 항목 중 하나로, QT/QTc 연장이 연구 약물이 심장 재분극에 약리학적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