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건강한 시험대상자나 특정 환자군에서 실시되며,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됩니다. 세브란스병원 임상약리학과에서는 임상약리시험 별 목적에 따른 용량군 설정, 채혈 포인트 설정, 대상자 수 산출 등 임상시험 설계안을 제시합니다.
의약품 후보 물질의 전임상 동물실험에 의해 얻은 독성, 흡수, 대사, 배설 및 약리작용 데이터를 토대로 비교적 소수 인원의 대상자에게 신약을 투여하고, 그 약물의 약동학, 인체에서의 약리작용, 부작용 및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는 투여량(내약량) 등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 (https://nedrug.mfds.go.kr/cntnts/15)
일반적으로 임상시험 단계에서 시험약에 대해 공복 상태와 비교하여 식후 복용 시 약물의 흡수 속도 및 정도에 미치는 음식물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는 연구
여러 약물을 병용 투여할 때 일부 약물은 다른 약물의 특성에 영향을 주어 의도치 않은 부작용 및 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약물 간의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는 연구
약동학적 매개변수를 지표로 하는 생체이용률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시험약과 대조약의 약물 간의 활성 성분 흡수율 및 제제의 정도를 통계적 차이에 따라 비교하는 연구
특수 인구집단(간장애, 신장애, 소아, 노인 등)의 경우, 해당 질환 및 상태의 특징으로 인해 약물의 ADME에 영향을 주어 유효성 및 안전성을 변화를 줄 수 있으므로, 약동학에 미치는 영향 예측 및 상관 관계 확인을 위한 연구
Q 파의 시작에서 T 파의 끝까지의 시간으로 계산되는 심장의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심전도의 평가 항목 중 하나로, QT/QTc 연장이 연구 약물이 심장 재분극에 약리학적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